본문 바로가기

식품에대한궁금증해결41

FSSC22000 기록관리규정 제정하기 1. 적용범위 본 규정은 당사에서 업무 수행시(공급업체 관련기록 포함) 발생되는 기록의 식별, 보관, 보호, 검색, 보유기간 및 처분 업무에 대하여 적용한다. 2. 목 적 본 규정은 기록의 식별, 보관, 보호, 검색, 보유기간 및 처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효율적인 관리로 품질경영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었음을 증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3. 용어의 정의 3.1 기록 품질경영시스템 전 범위에 대하여 당사 표준을 이행한 결과 발생되는 기록 문서 2020. 9. 3.
FSSC22000 문서관리규정 제정하기 1. 목적 문서를 사용하는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품질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자가 최신의 문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용어의 정의 2.1 품질 매뉴얼 FSSC 22000규격의 요구사항과 일치되도록 수립된 당사의 식품안전경영시스템의 기본사항을 서술한 문서 2.2 품질 규정 품질매뉴얼의 요건에 따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를 이행하기 위한 세부 수행방법, 구체적인 책임과 권한, 요구사항을 기술한 문서 2.3 지침 업무/작업/검사 방법 및/또는 기준을 세부적으로 표현한 문서 2.4 외부출처 문서 당사에서 발행하지 않은 외부 품질관련 문서로서 국제규격, 국가규격, 관계법규, 고객 지급 규격 등의 외부출처 문서를 의미한다. 2.5 관리본(Controlled Document) .. 2020. 9. 3.
FSSC22000 식품안전경영 매뉴얼 제정하기 FSSC22000 국제규격은 매뉴얼을 작성하도록 요청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관리기준서나 절차서에는 FSSC22000에서 요구하는 국제규격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회사의 식품안전 전략과 조직적 역할을 기술하고 인증 적용범위, 전반적인 조직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FSSC22000 식품안전경영매뉴얼을 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첨부화일로 FSSC22000 식품안전경영매뉴얼과 식품안전경영방침을 올리니 각자의 회사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면 될 것이다. 2020. 9. 3.
HACCP규격(기준서) 제정하는 법 HACCP란? Hazard Analysis Critica Control Point(위해요소중점관리)이라고 한다. 즉 식품을 제조/가공하는데 사람에게 위해를 줄 수 있는 요소를 사전에 차단 또는 허용 기준치 이하로 관리하는 체계를 말한다. 사람에게 위해를 줄 수 있는 요소가 많이 있겠지만 HACCP에서는 "물리적위해요소", "생물학적위해요소", "화학적위해요소"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관리하면 이 세가지 위해요소를 차단하거나 기준치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을 찿는 과정이 HACCP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하다. 1. 조직편성 및 업무분장 : HACCP활동을 하기 위한 별도의 조직구성 및 업무분장을 나눈 문서 2. 제품설명서 : 우리 회.. 2020.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