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품에대한궁금증해결

HACCP규격(기준서) 제정하는 법

by slowmrlee 2020. 9. 3.
728x90

HACCP란?

Hazard Analysis Critica Control Point(위해요소중점관리)이라고 한다. 즉 식품을 제조/가공하는데 사람에게 위해를 줄 수 있는 요소를 사전에 차단 또는 허용 기준치 이하로 관리하는 체계를 말한다.

사람에게 위해를 줄 수 있는 요소가 많이 있겠지만 HACCP에서는 "물리적위해요소", "생물학적위해요소", "화학적위해요소"를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관리하면 이 세가지 위해요소를 차단하거나 기준치 이하로 떨어뜨릴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을 찿는 과정이 HACCP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가 필요하다.

1. 조직편성 및 업무분장 : HACCP활동을 하기 위한 별도의 조직구성 및 업무분장을 나눈 문서

2. 제품설명서 : 우리 회사에서 생산되는 모든 제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나열한 문서

3. 작업장 평면도 : 우리 회사의 제품이 생산되는 모든 작업장의 도면을 그린 문서

4. 제조공정도 : 우리 회사의 모든 제품이 생산되는 절차 또는 순서를 작성한 문서

5. 위해요소 분석 목록표

1) 원.부자재 위해요소분석 목록표 : 우리 회사 제품에 사용되는 모든 원료, 재료, 부자재에 대한 위해요소를 분석한 목록표

2) 공정별 위해요소분석 목록표 : 우리 회사 제품이 생산되는 모든 공정에 대한 위해요소를 분석한 목록표

6. 중요관리점(CCP) 결정도 : 위해요소를 분석한 자료에서 사전 차단 및 기준치 이하로 관리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문서

7. 한계기준설정근거 실험 : 원.부재료 및 공정에서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으로 한계기준을 설정하게 된 근거 실험자료

8. HACCP Plan : 원.부재료 및 제조공정별 위해요소와 한계기준을 설정하고 그 기준을 관리하기 위해 모니터링 하는 방법과 기준 이탈시 조치하는 방법 등을 작성한 문서

9. 검증

1) 내부검증 : 정기적으로 HACCP Plan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자체적으로 검증하는 절차

2) 외부검증 : 정기적으로 HACCP Plan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외부로부터 검증받는 절차로서 최초 검증은 한국식품안전관리원에서 매년 정기검증은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그리고 3년마다 연장신청은 한국식품안전관리원에서 검증 받는다.

haccpplan.xlsx
0.04MB

 

HACCP관리기준서.xlsx
1.19MB

 

공정별위해요소분석목록표.xls
0.07MB
원부자재위해요소분석목록표.xls
0.19MB
위해요소분석보고서(한계기준설정유효성평가자료).xlsx
0.09MB
작업장평면도(CCTV위치도포함).xlsx
0.41MB
제조공정도_액상차.xls
0.13MB
조직도.pptx
0.05MB
첨1_제품설명서_액상차.xls
0.04MB

LIST